맨위로가기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남동부에 위치한 자치주이다.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며, 홍강이 자치주를 관통한다. 하니족, 이족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1957년 9월 6일 훙허 하니족 자치구와 멍쯔 전구가 합병되어 설치되었다. 현재 4개의 현급시, 6개의 현, 3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쿤밍과 하노이를 연결하는 쿤밍-하이퐁 철도와 쿤밍-허커우 철도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하니족 자치지방 - 모장 하니족 자치현
    모장 하니족 자치현은 중국 윈난성에 위치하며 아열대 기후의 영향으로 온화한 기온과 뚜렷한 우건기를 보이고, 하니족을 중심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국도와 고속도로를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하는 자치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하니족 자치지방 -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은 윈난성 푸얼시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차 교역로의 중심지이자 푸얼 차의 이름 유래지이며, 한족, 하니족, 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국도 213선, 위모선, 쿤모 고속도로가 지난다.
  • 윈난성의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위치하며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1956년에 자치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커피 재배가 활발하다.
  • 윈난성의 자치주 - 추슝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는 중국 윈난성 서부의 윈구이고원과 뎬중고원에 걸쳐 있는 자치주로,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이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농업과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이족 자치지방 - 추슝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는 중국 윈난성 서부의 윈구이고원과 뎬중고원에 걸쳐 있는 자치주로,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이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농업과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이족 자치지방 - 량산 이족 자치주
    량산 이족 자치주는 쓰촨 성 최남단에 위치한 이족 자치주로, 시창 시를 수부로 두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절벽 마을, 다양한 민족 구성, 그리고 역사적인 행정 구역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현지 명칭중국어: 红河州
하니어: Haoqhoq Haqniqssaq Haqhholssaq Ziiqziifzel
이어: ꉼꉻꆈꌠꊨꏦꏱꅉꍏ
유형자치주
멍쯔 남호 풍경
멍쯔 남호
거주 시 시가지
거주 시내
[[젠수이 현|젠수이]] 솽룽 다리
젠수이 솽룽 다리
[[비서자이 역]]
비서자이 역
[[미러 시|미러]] 둥펑윈 예술 마을
미러 둥펑윈 예술 마을
[[홍허 하니족 계단식 논|하니족 계단식 논]]
홍허 하니족 계단식 논
행정
국가중국
윈난성
현급 행정 구역3개의 현급 시
7개의 현
3개의 자치현
주 정부 소재지멍쯔
설립1957년 9월 6일
면적
총 면적32929 km²
인구
총 인구 (2019년 12월 31일)4,775,000명
도시 인구 비율33.7%
지리
최고 고도3074.3 m
최고 지점진핑 현 시롱산
최저 고도76.4 m
최저 지점허커우의 홍 강과 난시 강 합류 지점
경제
GDPCN¥ 2863억 위안
US$ 422억 달러
1인당 GDPCN¥ 64768 위안
US$ 9553 달러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661400
지역 번호0873
ISO 코드CN-YN-25
웹사이트HH.gov.cn

2. 지리

윈난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남쪽은 베트남, 동쪽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서쪽은 푸얼 시(普洱市), 북쪽은 취징 시(曲靖市) 등과 접한다. 주 내를 홍강(홍하, 송 홍)이 동남쪽으로 흐른다. 하니족, 이족의 집단 거주지이며, 이슬람교를 믿는 후이족도 많다.

3. 역사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몽자 전구(蒙自専区)'''가 설치되었다. 1957년 9월 6일 몽자 전구와 홍하 하니족 자치구가 합병하여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가 발족하였다. 1958년에는 거지우 시가 편입되었고, 2013년에는 미러 시가 승격되었다.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몽자 전구(蒙自専区) 설립.
1957년 9월 6일몽자 전구와 홍하 하니족 자치구(3현 1변사처)가 합병하여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발족.
1958년 9월 16일거지우 시 편입.
2013년 1월 24일미러 시 승격.


3. 1. 연표

1957년 11월 18일에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가 성립되었다.[4][5]

3. 1. 1. 몽자 전구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몽자 전구(蒙自専区)'''가 설치되면서, '''몽자현(蒙自県)''', '''거지우현(箇旧県)''', '''카이위안현(開遠県)''', '''젠수이현(建水県)''', '''취시현(曲渓県)''', '''스핑현(石屏県)''', '''진핑현(金平県)''', '''핑볜현(屏辺県)''', '''위안장현(元江県)''', '''롱우현(竜武県)''', '''허커우 대순독변구(河口対汛督弁区)'''가 설치되었다. (10현 1대순독변구)[4][5]

1950년 1월 27일, 위안장현(元江県), 스핑현(石屏県), 젠수이현(建水県)의 일부를 합병하여 '''홍허현(紅河県)'''을 설치하고, 젠수이현(建水県), 거지우현(箇旧県), 몽자현(蒙自県)의 일부를 합병하여 '''신민현(新民県)'''을 설치하였다. (12현 1대순독변구)[4][5]

1950년 5월 31일, 허커우 대순독변구(河口対汛督弁区)에 시제를 시행하여 '''허커우시(河口市)'''를 설치하였다. (1시 12현)[4][5]

1951년 1월 10일, 거지우현(箇旧県)과 몽자현(蒙自県)의 일부를 합병하여 지급시인 '''거지우시(箇旧市)'''를 설치하고, 거지우현(箇旧県)의 나머지 지역은 몽자현(蒙自県)에 편입하였다. 홍허현(紅河県)은 자치구로 전환되어 '''홍허현아이니족자치구(紅河県アイニ族自治区)'''가 되었다. (1시 10현 1자치구)[4][5]

1951년 3월 24일, 신민현(新民県)을 '''위안양현(元陽県)'''으로 개칭하였다. (1시 10현 1자치구)[4][5]

1951년 12월 8일, 롱우현(竜武県)을 설치구로 전환하여 '''롱우설치구(竜武設治区)'''를 설치하였다. (1시 9현 1자치구 1설치구)[4][5]

1952년 11월 21일, 롱우설치구(竜武設治区)에 현제를 시행하여 '''롱우현(竜武県)'''을 설치하였다. (1시 10현 1자치구)[4][5]

1953년 11월 28일, 위안양현(元陽県), 진핑현(金平県), 홍허현아이니족자치구(紅河県アイニ族自治区)를 '''홍허하니족자치구(紅河ハニ族自治区)'''에 편입하였다. (1시 8현)[4][5]

1954년 6월 12일, 이량전구(宜良専区)의 '''밀러이족자치구(弥勒イ族自治区)'''를 편입하였다. (1시 8현 1자치구)[4][5]

1954년 7월 20일, 위안장현(元江県)을 '''위시전구(玉渓専区)'''로 이관하였다. (1시 7현 1자치구)[4][5]

1955년 1월 3일, 허커우시(河口市)에 현제를 시행하여 '''허커우현(河口県)'''을 설치하고, 밀러이족자치구(弥勒イ族自治区)에 현제를 시행하여 '''밀러이족자치현(弥勒イ族自治県)'''을 설치하였다. (8현 1자치현)[4][5]

1957년 9월 6일, 몽자현(蒙自県), 카이위안현(開遠県), 젠수이현(建水県), 스핑현(石屏県), 핑볜현(屏辺県), 롱우현(竜武県), 취시현(曲渓県), 허커우현(河口県), 밀러이족자치현(弥勒イ族自治県)을 '''홍허하니족이족자치주(紅河ハニ族イ族自治州)'''에 편입하였다.[4][5]

1958년 9월 16일, 거지우시(箇旧市)를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紅河哈尼族彞族自治州)'''에 편입하였다.[4][5]

3. 1. 2. 거지우 시


  • 1953년 11월 28일 - 몽자 전구 원양현, 금평현, 홍하현 이족 자치구를 편입하여 '''홍하 하니족 자치구'''가 설치되었다.(3개 현)[4][5]
  • 홍하현 이족 자치구가 현제 시행되어 '''홍하현'''이 되었다.
  • 1956년 5월 29일 - 홍하현, 원양현 각 일부가 사묘 전구 묵강현의 일부와 합병하여 '''육촌변사처'''가 발족하였다.(3개 현 1개 변사처)[4][5]
  • 1957년 9월 6일 - 홍하현, 금평현, 원양현, 육촌변사처가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에 편입되었다.[4][5]

3. 1. 3. 홍허 하니족 자치구

자치주는 1957년 11월 18일에 성립되었다.[4][5] 상세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57년 9월 6일홍하 하니족 자치구(3현 1변사처)·몽자 전구(8현 1자치현)가 합병하여 홍하 하니족 이족 자치주가 발족.(12현 1변사처)
1957년밀러 이족 자치현이 현으로 이행하여, 밀러현이 됨.
1958년 5월 29일륙촌 변사처 및 금평현·원양현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록춘현이 발족.(13현)
1958년 9월 16일개구시를 편입. 개구시가 현급시로 강등.(1시 13현)
1958년 9월 24일병변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병변묘족자치현이 발족. 하구현 및 병변현의 잔부가 합병하여, 하구야오족자치현이 발족.(1시 11현 2자치현)
1958년 10월 20일몽자현 및 개원현의 일부가 개구시에 편입. 개원현의 잔부가 원산장족묘족자치주 원산현에 편입.(1시 9현 2자치현)
1960년 2월 16일하구야오족자치현·병변묘족자치현이 합병하여, 하구야오족묘족자치현이 발족.(1시 9현 1자치현)
1960년 9월 13일곡정 전구 로서현이 밀러현에 편입. 용무현이 석벽현에 편입. 곡계현이 건수현에 편입. 원산장족묘족자치주 원산현의 일부가 개구시에 편입.(1시 7현 1자치현)
1961년 2월 14일개구시의 일부가 분립하여, 개원현·몽자현이 발족.(1시 9현 1자치현)
1962년 3월 2일하구야오족묘족자치현이 분할되어, 하구야오족자치현·병변묘족자치현이 발족.(1시 9현 2자치현)
1962년 3월 27일밀러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로서현이 발족.(1시 10현 2자치현)
1981년 1월 18일개원현이 시제 시행하여, 개원시가 됨.(2시 9현 2자치현)
1984년 12월 5일홍하현의 일부가 옥계지구 원강하니족이족태족자치현에 편입.(2시 9현 2자치현)
1985년 6월 11일금평현이 자치현으로 이행하여, 금평묘족야오족태족자치현이 됨.(2시 8현 3자치현)
2010년 9월 10일몽자현이 시제 시행하여, 몽자시가 됨.(3시 7현 3자치현)
2013년 1월 24일밀러현이 시제 시행하여, 밀러시가 됨.(4시 6현 3자치현)


3. 1. 4.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1957년 11월 18일에 성립했다.[4][5]

4. 행정 구역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현급 행정구역도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4개의 현급시, 6개의 현, 3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칭한자병음인구(2010년)면적(km2)인구밀도(/km2)
훙허 현红河县|훙허 현중국어Hónghé Xiàn296,5002034km2146
뤼춘 현绿春县|뤼춘 현중국어Lǜchūn Xiàn222,2003167km270
젠수이 현建水县|젠수이 현중국어Jiànshuǐ Xiàn531,5003940km2135
스핑 현石屏县|스핑 현중국어Shípíng Xiàn299,1003090km297
루시 현泸西县|루시 현중국어Lúxī Xiàn400,7001674km2239
위안양 현元阳县|위안양 현중국어Yuányáng Xiàn396,8002292km2173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金平苗族瑶族傣族自治县|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중국어Jīnpíng Miáozú Yáozú Dǎizú Zìzhìxiàn356,2003677km297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河口瑶族自治县|허커우 야오족 자치현중국어Hékǒu Yáozú Zìzhìxiàn104,6001313km280
핑볜 먀오족 자치현屏边苗族自治县|핑볜 먀오족 자치현중국어Píngbiān Miáozú Zìzhìxiàn154,0001905km281


4. 1. 현급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4개의 현급시, 6개의 현, 3개의 자치현을 관할한다.

현급시는 다음과 같다.

  • 거주 시
  • 카이위안 시
  • 멍쯔 시
  • 미러 시


명칭한자병음인구(2010년)면적(km2)인구밀도(/km2)
멍쯔 시蒙自市|멍쯔 시중국어417,2002,228187
거주 시459,8001,597288
카이위안 시322,7002,009161
미러 시539,7004,004135


4. 2. 현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4개의 현급시, 6개의 현, 3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한자병음인구 (2010년)면적 (km2)인구 밀도 (/km2)
거주 시个旧市|거주 시중국어Gèjiù Shì459,8001597km2288
카이위안 시开远市|카이위안 시중국어Kāiyuǎn Shì322,7002009km2161
멍쯔 시蒙自市|멍쯔 시중국어Méngzì Shì417,2002228km2187
미러 시弥勒市|미러 시중국어Mílè Shì539,7004004km2135
훙허 현红河县|훙허 현중국어Hónghé Xiàn296,5002034km2146
뤼춘 현绿春县|뤼춘 현중국어Lǜchūn Xiàn222,2003167km270
젠수이 현建水县|젠수이 현중국어Jiànshuǐ Xiàn531,5003940km2135
스핑 현石屏县|스핑 현중국어Shípíng Xiàn299,1003090km297
루시 현泸西县|루시 현중국어Lúxī Xiàn400,7001674km2239
위안양 현元阳县|위안양 현중국어Yuányáng Xiàn396,8002292km2173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金平苗族瑶族傣族自治县|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중국어Jīnpíng Miáozú Yáozú Dǎizú Zìzhìxiàn356,2003677km297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河口瑶族自治县|허커우 야오족 자치현중국어Hékǒu Yáozú Zìzhìxiàn104,6001313km280
핑볜 먀오족 자치현屏边苗族自治县|핑볜 먀오족 자치현중국어Píngbiān Miáozú Zìzhìxiàn154,0001905km281



4. 3. 자치현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에는 3개의 자치현이 있다.

명칭한자병음인구(2010)면적 (km2)인구밀도(/km2)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金平苗族瑶族傣族自治县중국어진핑먀오주야오주다이주자치현356,2003677km297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河口瑶族自治县중국어허커우야오주자치현104,6001313km280
핑볜 먀오족 자치현屏边苗族自治县중국어핑볜먀오주자치현154,0001905km281


5. 주민

2019년 말 기준, 훙허 주의 인구는 477만 5천 명이었으며, 그중 61.3%가 소수 민족이었다.[2] 2000년 인구 조사의 인구는 4,130,463명, 인구 밀도는 km2당 125.44명이었다. 훙허 주에는 하니족, 이족, 후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5. 1. 훙허의 민족 구성 (2010)

훙허의 민족 구성 (2010)
민족인구비율 (%)
한족1,830,24544.31
이족973,73223.57
하니족685,72716.6
먀오족274,1476.64
좡족99,1322.4
다이족98,1642.38
야오족76,9471.86
후이족68,0331.65
라후족9,9000.24
바이족4,1610.1
부이족3,7360.09
몽골족1,2140.03
투족8350.02
비공인 소수민족8280.02
기타3,6620.09


5. 2. 민족 소분류

훙허 주에는 다양한 하니족, 이족 소분류가 존재한다.[1]

하니족 소분류는 다음과 같다.

  • 하니어
  • 누오비어
  • 누오메이어
  • 아체어
  • 라미어
  • 바이홍어
  • 아수오어
  • 부두어
  • 치디어
  • 거허어
  • 비위에어
  • 카두오어
  • 하오 ()
  • 에누어 (시몰루오)


이족 소분류는 다음과 같다.

  • 니수보 (; 다른 이름: 루올루오 , 산다오홍 , 화야오 花腰중국어, 무지 母基중국어)
  • 니보 (; 다른 이름: 사니 撒尼중국어, 아저 阿哲중국어)
  • 거포 (; 다른 이름: 백이 白彝중국어)
  • 쓰치 (斯期중국어; 다른 이름: 대흑이 大黑彝중국어, 소흑이 小黑彝중국어)
  • 아시보 (; 다른 이름: 아시 )
  • 푸와보 (), 푸러보 (; 다른 이름: 푸라 朴喇중국어)
  • 알루보 (; 다른 이름: 아루 )
  • 러수보 (; 다른 이름: 산수 )
  • 루오보 (; 다른 이름: 아우 , 라오우 )
  • 샹탕 (香堂중국어)

6. 교통

베트남 송 홍(홍하) 상류에 위치하며, 쿤밍과 하노이를 연결하는 철도와 도로가 주를 통과한다. 특히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은 베트남 라오까이와 인접하여 경제 교류가 활발하다. 323번 국도와 326번 국도가 교차한다.

멍자역


红河有轨电车|훙허 유궤전차중국어

6. 1. 도로

고속도로국도


6. 2. 철도

쿤밍과 하노이를 연결하는 전월철도(滇越)가 이 지역을 통과하고 있어, 베트남과의 교통 요지이다. 특히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의 현청 소재지인 허커우진(河口鎮)은 강을 경계로 베트남 북부의 라오까이와 인접하여 베트남과의 경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20세기 초 건설된 협궤 철도인 쿤밍-하이퐁 철도(Kunming–Hai Phong Railway)와 거비시 철도(Gebishi Railway)의 지선들이 지나간다.[1] 표준궤인 쿤밍-허커우 철도(자치주 내 구간은 유시-멍즈 철도(Yuxi–Mengzi Railway)와 멍즈-허커우 철도(Mengzi–Hekou Railway)임)가 개통된 후, 이들 철도는 경제적 중요성의 대부분을 상실했다.[1]

이 자치주는 난닝-쿤밍 고속철도(Nanning–Kunming high-speed railway)와 건설 중인 밀러-멍즈 철도(Mile–Mengzi Railway)의 서비스를 받는다.[1] 쿤밍과 허커우야오족자치현(河口瑶族自治県) 현 정부 소재지인 허커우진(河口鎮)을 잇는 쿤위허선이 이 지역을 통과하고 있어 베트남과의 교통상 중요한 지역이다.[1] 허커우진은 강을 사이에 두고 베트남 북부의 라오까이(라오카이, Lào Cai)시와 인접해 있으며, 베트남과의 경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 -중국국가철로집단
  • 난쿤 여객 전용선(밀륵 시내)
  • 쿤위허 선
  • 밀몽 선

6. 3. 공항

홍허 멍쯔 공항은 지급시인 멍쯔 시에 건설 중이다.[3]

참조

[1] 서적 《云南统计年鉴-2023》 中国统计出版社 2023-12-00
[2] 웹사이트 美丽红河__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人民政府门户网站 http://www.hh.gov.cn[...] 2021-01-23
[3] 웹사이트 红河蒙自机场开工建设 http://www.hh.gov.cn[...] 2021-05-15
[4]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5] 웹사이트 云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